본문 바로가기
728x90

파업4

의대 정원 확대, 파업 위기까지 ▸ 의사 부족과 정원 확대 정부가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의대 정원 확대를 결정한 것은 환영할 일입니다. 현재 의사 1인당 환자 수가 OECD 평균의 2배에 달할 정도로 의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입니다. 특히 응급실, 소아과와 같은 필수 의료분야에선 더욱 심각합 니다. 그렇기에 정부가 2025학년도 입학생부터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기로 한 것입니다. 정원 확대로 전국 의대생이 약 2,000명 가량 증가하며, 의료 접근성 개선과 지역간 의료격차 완화에 큰 보탬이 될 것입니다. 실제로 서울과 경북지역의 의사수 차이는 3배에 육박하는 등, 지역간 의료불평등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다만, 의대 정원 확대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될 거라 기대하기는 이르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의료계 구조적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 2024. 2. 18.
할리우드 파업 끝, OTT와 AI의 미래 • 파업의 배경 우리가 흔히 즐겨보는 넷플릭스와 같은 OTT(Over The Top) 서비스는 과연 얼마나 많은 변화를 불러왔을까? 이런 서비스의 등장은 무엇보다도 기존의 방식을 통해 작품을 만들고 공유하던 방식을 크게 흔들었다. 특히 이번 할리우드 파업은 그 중심에 OTT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문제가 있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OTT 서비스의 확산은 작품이 다시 상영되거나 재방송될 때마다 배우나 제작진에게 일정 수익을 나눠주는 재상영분배금이란 기존의 제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OTT 서비스들이 이런 재상영분배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샀다. 사실 OTT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저작권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수익은 없는 상황이다. 이런 변화는 기존에 영화나 드라마의 성공에 따라 추가 .. 2023. 10. 19.
할리우드 파업, OTT와 AI가 불러온 변화 • 할리우드 파업의 배경, 63년만의 동맹 할리우드, 세계 영화의 중심지. 그러나 최근 5개월 동안 이 곳은 영화나 드라마의 제작보다는 파업의 소식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63년 만에 배우와 작가들이 손을 잡고 파업에 나선 것은 큰 이슈였습니다.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던 이런 대규모 파업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듄2, 아바타3 같은 대작 영화의 개봉이 연기되는 일은 흔치 않습니다. 그러나 이번 파업으로 인해 그런 대작의 개봉이 연기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SNL 같은 인기 TV 프로그램의 촬영 또한 중단되었습니다. 파업의 영향으로 OTT 구독료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소비자의 반응은 어떨지 주목됩니다. 파업의 원인 중 하나는 OTT 서비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넷플릭스 같은 OTT 서비스에선 지난 영화나.. 2023. 10. 17.
노란봉투법, 대법원 판결의 파장 1. 노란봉투법의 기원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노란봉투법'. 그 이름이 등장한 배경은 2014년, 쌍용차 파업에 대한 법원 판결 때입니다. 당시 법원은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에게 엄청난 금액인 47억 원을 물어내라는 판결을 내렸죠. 놀랍게도 이에 사람들은 노란 봉투에 돈을 담아 모금 운동에 나섰고 그래서 이 법안의 이름이 '노란봉투법'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이 이름 뒤에 숨겨진 의미입니다. "파업한 노동자에게 수십억 원을 물어내라고 하는 건 파업하지 말라는 것과 똑같다"는 명확한 메시지가 담겨있죠. 노란봉투법은 아직 법률로 제정되진 않았지만 그 취지와 목표는 매우 분명합니다. 이는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노동자가 산업행동, 즉 파업에 참여할 때 그 결과로.. 2023. 6.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