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영향4

저출산 위기, 대응은 어디까지? ▸ 합계출산율의 경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 문제는 개인의 선택을 넘어선 국가적 위기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작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0.72명으로 집계되며, 이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국가의 인구 유지 및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OECD 국가 중에서도 한국은 특히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사회 구조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것입니다. 생산 가능 인구 감소는 노동 시장 축소, 소비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노령 인구 증가와 함께 사회 보장 부담이 가중되어 젊은 세대에게 더 큰 .. 2024. 3. 26.
EU 디지털시장법, 플랫폼 규제의 미래 • DMA란 무엇인가? 디지털 세계의 거인들이 무대 위에서 어떤 규칙에 따라 춤을 추어야 하는가? 이것이 바로 유럽연합(EU)이 지난해 발표한 디지털시장법(DMA)의 핵심 질문입니다. 이 법은 큰 규모의 플랫폼 기업들이 작은 사업자나 소비자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도록 만들어진 법률입니다. 이제 공개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DMA는 이런 기업들이 무분별한 데이터 활용이나 경쟁사 차별, 소비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메타(페이스북의 모회사)는 이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스레드와 같은 자사 서비스로 얻은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동의 없이 다른 서비스에 활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정보를 무단으로 활용한다면 과징금이나 서비스 제한 등 엄격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또.. 2023. 9. 18.
블로킹 현상, 캐나다 산불 연기가 뉴욕까지 간 이유 1. 산불 연기의 원거리 이동 우리는 가끔 뉴스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산불로 인해 우리 도시의 대기질이 악화되는 사례를 보곤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왜 산불의 연기가 수백 때론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캐나다 퀘백 주에서 발생한 사상 최악의 산불은 연기가 수 천 킬로미터 떨어진 미국의 뉴욕까지 도달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대기 중에 흐르는 특별한 공기의 흐름 패턴, 즉 '블로킹' 현상 때문입니다. 블로킹 현상은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과정으로 대기의 이동 경로와 패턴을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고기압과 저기압이 원래의 경로를 벗어나 남북 방향으로 굽이치면서 발생하며 그 결과 특정 지역의 고기압이.. 2023. 7. 3.
라면 가격 인하, 원자재와 서민의 물가 1. 라면 가격 변동 배경 라면 가격의 인하에 이르게 된 배경에는 수많은 요인이 얽혀있습니다. 주요한 건 두 가지인데요, 하나는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다른 하나는 이익률에 대한 비판입니다. 지난 2021년부터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국제 밀값이 상승했죠. 이로 인해 국내 라면 가격도 1년 동안 약 13%나 급등했습니다. 이렇게 가격이 크게 오른 건 14년 만에 처음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라면 업계의 과도한 이익률이 논란이 되었습니다. 과연 가격 상승의 전부가 원자재 비용 증가 때문인지 의문이 제기된 것이죠. 일각에선 라면 제조업체들이 지나치게 이익을 취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추경호 부총리는 "국제 밀 가격이 떨어지고 서민 부담도 큰데, 라면 가격을 내려야 해!"라며 라면 업계에 가.. 2023. 6.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