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상식 돋보기

미국·중국 기술투자 제한, 칼날 끝의 경제전쟁

by WhaleDaddy 2023. 8. 15.
728x90

The Technology Tug-of-War

1. 미국의 큰 규제 속내

 

강대국 간의 대립은 여느 때와 같이 신기술 투자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번엔 미국이 중국의 첨단 기술 분야로의 투자에 제동을 걸며 두 나라 간의 경제전쟁에 새로운 페이지를 더하고 있다. 미국이 기업에게 중국 첨단 기술에의 투자를 규제하겠단 발표는 물론 그 동안의 관세전쟁, 기술 이슈 등과 별개로 해석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규제의 본질적인 목적은 무엇일까?

 

대부분은 미국의 경제적 우위를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강력한 조치는 반드시 안보라는 큰 그림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중국의 기술력 발전은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는 주장은 실제로 얼마나 타당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없지만, 미국의 이번 행동은 확실히 중국의 기술 발전을 억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물론 그 안엔 미국의 국가 이익을 지키기 위한 논리도 있겠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결국 이런 현상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은 미국과 중국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노력과 그것을 방해하려는 중국의 도전이다.

The Dual Nature of Innovation

2. 안보 위험 vs 기술경쟁

 

미국의 첨단 기술 투자 제한 발표는 대외적으로 안보 위험을 주장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론 기술 경쟁에 대한 우려가 숨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의 안보를 중시하는 것은 당연한 국가의 권리이며 국제 정치의 복잡한 양상 속에서 미국의 주장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안보 주장이 그대로 받아들여져야 하는가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다.

 

기술의 발전은 그 자체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미국이 중국의 첨단 기술 분야 발전을 위협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중국이 기술 경쟁에서 특정 분야에선 미국을 위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내부에서도 실제로 이런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제와 기술, 두 영역에서의 경쟁이 점점 격화됨에 따라 미국은 중국을 압박하는 여러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안보 위험 주장은 미국이 기술 경쟁에서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의 기술 발전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중장기적으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이런 제한 조치를 내놓은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이런 전략은 장기적으로 볼 때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기술의 발전과 혁신은 국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한과 규제는 결국 그 나라 자신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가 현명한 선택을 통해 상호 이해와 협력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Global Collaboration vs Isolation

3. 중국의 반응과 전망

 

미중 관계의 향방이 주목될 때, 중국의 반응은 예상 외로 절제된 모습을 보였다. 중국은 이번 미국의 투자 제한 발표에 "안보를 핑계로 한 제한은 본질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무역 및 기술 협력의 방해 요인으로 지적했다. 이와 함께 중국은 미국의 경제적 동맹국들에게도 자국의 기술 발전을 저해하는 조치를 취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미국의 규제 발표 이후, 중국 내부에선 강한 국민적 반발이 예상되었으나 정부는 외교적 접근을 통해 협상과 대화의 틀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11월 미중 정상회담의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양국 간의 협상은 미래의 미중 경제 및 기술 관계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런 외교적 노력과 별개로 중국은 전기차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 전략을 검토하고 있음이 전해졌다. 이는 미국이 강조하고 있는 전기차 산업의 발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국제 전기차 시장의 동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국제 정치의 무대에서 양국은 여전히 각자의 이익을 위한 전략적 판단을 내릴 것이다. 그러나 국제 사회와 미래 세대를 위해 상호 협력과 공존의 방향을 택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는 지적도 일어나고 있다.

Burden on the Next Generation

4. 동맹국의 입장과 대응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동맹국이 이번 미중 기술 투자 제한에 어떤 태도를 취하게 될지가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미국의 규제 발표는 단순히 미중간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전세계적인 국제 경제와 기술 협력 구조에 파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이미 미중 무역전쟁의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어왔다. 미국과는 전략적 동맹관계를 유지하며 중국과는 경제적 협력을 강화해왔기 때문이다. 미국의 규제 발표에 대한 한국 정부의 공식 입장은 아직 내놓지 않았으나, 한국의 주요 기업이 미중 기술 전쟁의 여파로부터 자신의 비즈니스를 어떻게 보호하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유럽의 주요 국가도 이번 미국의 규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립하는 중이다. 영국과 독일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이미 미국과 비슷한 조치를 검토 중임을 밝혔다. 그러나 이런 규제 도입에 따른 잠재적인 경제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중 갈등의 확대는 유럽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 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재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리하자면 미중 기술 투자 제한 문제는 단순히 두 나라 간의 갈등으로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적인 경제 및 기술 협력 구조의 재편이 필요한 시점에서 동맹국의 대응 전략과 협력의 방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The Call for Unity

5. 기술 갈등과 미래의 국제 정세

 

기술 혁신은 세기의 변곡점을 만들어 왔다. 그런데 최근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갈등은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넘어 국제 정세의 변화와 연결되고 있다. 두 나라 사이의 이 갈등은 세계 경제의 미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여기서 필자의 관점을 밝히자면, 이런 기술 전쟁이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보단 국제사회 전체의 협력과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의 규제와 제재는 단기적으론 특정 나라의 이익을 위해 행해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세계 경제와 기술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전세계의 연구자와 기업가들은 공통의 목표, 즉 지속 가능한 미래와 세계 평화를 위한 기술 발전을 향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간의 정치적인 이해관계와 경제적 압박이 이러한 발전을 방해하고 있다. 이런 갈등은 결국 소비자와 시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무엇보다 현재의 기술 갈등은 미래 세대에게 큰 부담으로 남을 수 있다. 미래의 연구와 발전이 제한되면 우리는 현재의 편리함과 발전을 누릴 수 있어도 미래 세대는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잃게 될 것이다. 결국 국가 간의 협력과 상호 이해가 더 중요한 시점에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는 국제사회, 특히 기술 강대국이 상호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고 국가 간의 갈등을 넘어 세계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우리는 본격적인 신냉전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728x90

댓글